검색엔진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법인데, 검색엔진은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를 검색 로봇이 검색해서 문서내의 단어들을 색인하여 URL에 맵핑해서 저장해놓는다.
Key | Value |
bcho.tistory.com/nosql | nosql, cassandra, riak |
bcho.tistory.com/cloud | amazon, azure, google |
facebook.com/group/serverside | amazon, google, riak |
highscalability.com/bigdata | nosql, riak |
http://www.basho.com/riak | riak |
검색은 단어를 키로 검색이 되기 때문에, 위의 테이블 구조에서는 value에 검색 키워드들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, 효과적인 검색을 할 수 없다.이 검색 키워드를 키로 해서 URL을 value로 하는 테이블을 다시 만들어 보면, 아래와 같은 식으로 표현되고, 검색 키워드로 검색을 하면 빠르게, 검색 키워드를 가지고 있는 URL을 찾아낼 수 있다.
Key | Value |
riak | bcho.tistory.com/nosql facebook.com/group/serverside highscalability.com/bigdata http://www.basho.com/riak |
nosql | bcho.tistory.com/nosql highscalability.com/bigdata |
이렇게 value의 내용을 key로 하고, key의 내용을 반대로 value로 하는 패턴을 inverted search index라고 한다.